카테고리 없음

게슈탈트 이론을 이용한 디자인 레이아웃 연구

flyplanet 2025. 2. 14. 13:51

여러분의 뇌는 항상 이전의 경험과 시각적 패턴을 비교하며, 이를 서로 연결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왔습니다. 이러한 과정 덕분에 우리는 모양과 형태를 인식하고, 정보를 분류하며, 간격을 메우면서 전체적인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같은 정보는 묶어주고, 간격을 적절히 띄워주어야 한다." 

같은 정보를 묶고 간격을 적절히 띄워야 하는 이유는 효율적인 정보 전달과 사용자 경험(UX) 향상 때문입니다. 이를 설명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시각적 그룹화 원칙 (Gestalt 법칙)

  • 사람의 뇌는 가까이 있는 요소들을 같은 그룹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관련된 정보를 묶어 배치하면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내용을 이해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인지적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폼 입력창에서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같은 관련된 항목이 한 그룹으로 묶여 있어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습니다.

2. 가독성 향상

  • 텍스트나 UI 요소가 지나치게 밀집되어 있으면 읽기 어려워지고, 정보 파악이 어려워집니다.
  • 반대로 적절한 간격과 여백을 두면 사용자가 내용을 더 쉽게 스캔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신문 기사가 적절한 단락 구분 없이 한 덩어리로 되어 있다면 읽기가 매우 불편할 것입니다.

3. 디자인의 직관성과 미적 완성도 향상

  • 디자인에서 공간과 여백을 적절히 활용하면 정돈된 느낌을 주고, 깔끔한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애플(Apple) 제품 페이지는 불필요한 요소를 줄이고 넓은 여백을 사용하여 제품의 핵심 정보에 집중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4.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경험(UX) 개선

  • 웹사이트나 앱 디자인에서는 버튼, 텍스트, 이미지 간격이 잘 조정되어 있어야 사용자가 혼란 없이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버튼이 너무 가까이 붙어 있으면 실수로 잘못된 버튼을 누를 가능성이 커집니다

서로 연관된 정보는 가까이 배치해야 하며, 반대로 관련성이 적은 항목은 더 멀리 떨어뜨려야 합니다.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데 백색 여백(Whitespace) 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ttps://replus1541.tistory.com/12

 

UI 디자인 : 게슈탈트 이론으로 바라본 UI 레이아웃 (번역본)

이 게시물은 Medium - Muzli 채널의 'Gestalt principles in UI design' 이라는 문서를 번역한 게시글입니다. 맥락상 이해가 쉽도록 의역 + 수정했기 때문에 정확하지 못한 표현이 있을 수 있습니다. 원본글 링

replus1541.tistory.com

 

https://brunch.co.kr/@sarayun/30

 

09화 디자인 기초, 배치 (레이아웃) 공식

비율로 보는 연습 | 디자인 4대 공식 배치, 폰트, 컬러, 이미지 비율로보는 연습 지금까지 제가 비율로 보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여러 번 강조를 했었습니다. 비율로 보는 연습이란 면적의 대비

brunch.co.kr

https://brunch.co.kr/@sarayun/32

 

11화 망하지 않는 컬러 고르는 공식

디자인 기초 공식 | 세 번째 공식인 컬러 공식입니다. 컬러는 네 가지 공식 중에서 개인의 취향이 가장 많이 반영되는 요소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망하지 않는 컬러 공식이 있으니 컬러 사

brunch.co.kr